곧 있으면 내년 2023년의 해가 밝아 옵니다. 그리고 가장 궁금한건 휴일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가장길게 쓸만한 휴일은 어떤 달이 있는지 살펴보고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대체 공휴일에 관련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의 목차
- 1 2023년 황금연휴 길게 쉴수 있는 달?
- 2 관련 글
- 3 연관포스팅
- 4 한국의 기상청 보다 잘 맞춘다는, 해외 기상청 사이트 순위 5곳
- 5 휴대폰 본인인증이 안 될 때? 한국모바일인증 즉시차단 해제 방법 정리 (http://www.kmcert.com/)
- 6 병역명문가 혜택 총정리! 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한눈에
- 7 현재 AI를 사용 활용 할 수 있는 사이트 5가지
- 8 빈 박스 마케팅이란? 처벌 수위는?
- 9 ip주소 확인 cmd 방법 이용 아이피 확인 4초?
- 10 자전거 지하철 타도 되는 날은 언제인가? 호선별 주중 주말 정리
- 11 신한은행 개인사업자 대출 '신한 in 네이버페이' 출시 대상 및 한도는?
2023년 황금연휴 길게 쉴수 있는 달?
위와 같이 살펴보시면 2023년을 연차를 이용하여 길게 쉬어볼 수 있는 달은 2월, 4월, 7월, 11월이라고 보여지는데요.
6일동안 휴무 가능한 달
- 9월 (추석+개천절+연차2일) – 28/29/30일(추석), 10월 1일(일요일)/2일(연차)/3일(개천절), 연차 1일 총 6일 휴무가능
4일동안 휴무 가능한 달
- 1월 (설날+대체공휴일)- 21/22/23/24일
- 6월 (5일에 연차) – 3일(토요일)/4일(일요일)/5일(연차)/6일(현충일)
3일동안 휴무 가능한 달
- 5월 – (어린이날+ 주말) 5일/6일/7일
- 10월 – (주말 + 한글날) 7일/8일/9일
- 12월 – (주말 + 크리스마스) 23일/24일/25일
위와 같이 2023년 길게 휴무를 사용할 수 있는 달을 정리하여 볼 수 있습니다. 가장 길게 사용이 가능한건 9월의 추석을 빌미로 연차 2일을 사용하신다면 추석, 개천절 포함하여 총 6일을 쉬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일정을 참고하시고 일정을 잡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