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있으면 내년 2023년의 해가 밝아 옵니다. 그리고 가장 궁금한건 휴일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가장길게 쓸만한 휴일은 어떤 달이 있는지 살펴보고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대체 공휴일에 관련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의 목차
- 1 2023년 황금연휴 길게 쉴수 있는 달?
- 2 관련 글
- 3 연관포스팅
- 4 5인승 이상 차량용 소화기 의무화, 대상은? 소화기 비치안하면 처벌은?
- 5 호스피아 홈페이지 (horsepia.com) 유소년 승마캠프 신청방법
- 6 출소자 긴급지원금 신청하는 방법 및 복지 알아보기
- 7 워드프레스 운영하면서 스팸메일 함부로 클릭하면 안되는 이유
- 8 뽀모도로 타이머 활용방법 생산성 향상된다!
- 9 취약계층 무상지원 결혼식 대상 및 신청방법 결혼식장 위치는?
- 10 식기세척기 12인용 50만원대 저렴하게 구매한 노하우
- 11 주말에도 가능한 주민등록등본 발급 방법 (무인발급기·정부24·편의점)
2023년 황금연휴 길게 쉴수 있는 달?
위와 같이 살펴보시면 2023년을 연차를 이용하여 길게 쉬어볼 수 있는 달은 2월, 4월, 7월, 11월이라고 보여지는데요.
6일동안 휴무 가능한 달
- 9월 (추석+개천절+연차2일) – 28/29/30일(추석), 10월 1일(일요일)/2일(연차)/3일(개천절), 연차 1일 총 6일 휴무가능
4일동안 휴무 가능한 달
- 1월 (설날+대체공휴일)- 21/22/23/24일
- 6월 (5일에 연차) – 3일(토요일)/4일(일요일)/5일(연차)/6일(현충일)
3일동안 휴무 가능한 달
- 5월 – (어린이날+ 주말) 5일/6일/7일
- 10월 – (주말 + 한글날) 7일/8일/9일
- 12월 – (주말 + 크리스마스) 23일/24일/25일
위와 같이 2023년 길게 휴무를 사용할 수 있는 달을 정리하여 볼 수 있습니다. 가장 길게 사용이 가능한건 9월의 추석을 빌미로 연차 2일을 사용하신다면 추석, 개천절 포함하여 총 6일을 쉬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일정을 참고하시고 일정을 잡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