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가입시 기여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지급구조와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기여금에 대한 표를 정리하여 보여드릴려고 하는데요. 참고하시고 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의 목차
- 1 청년도약계좌 도표
- 2 청년도약계좌 계산하기
- 3 관련 글
- 4 연관포스팅
- 5 전세사기 당했을 때 당황하지 마세요! 국가 지원 4가지 해결책을 알아보자
- 6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및 신청기간 방법 최대 1080만원 지원?
- 7 성남시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대상은?
- 8 돈도 없고 담보 없어도 대출가능한 상품은? IP활용
- 9 부모급여란? 부모급여신청방법 22년생 받을 수 있나?
- 10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지원 및 3월 일정 안내 지원대상 및 납입한도는?
- 11 서울시 무급휴직 지원금 대상과 신청방법은? 150만원 지원?
- 12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신청 및 혜택 모집기간은?
청년도약계좌 도표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 본인 납입한도(월) | 기여금 지급한도(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월) |
---|---|---|---|---|
2,400만 원 이하 | 70만 원 | 40만 원 | 6.0% | 2.4만 원 |
3,600만 원 이하 | 50만 원 | 4.6% | 2.3만 원 | |
4,800만 원 이하 | 60만 원 | 3.7% | 2.2만 원 | |
6,000만 원 이하 | 70만 원 | 3.0% | 2.1만 원 | |
7,500만 원 이하 | – | – | – |
위와 같이 표를 이용하여 기여금에 대한 표를 확인하여 볼 수 있습니다. 납입한도금액의 경우 70만원까지이며,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납입한도의 경우 각각 40, 50, 60, 70만원 기준으로 소득 기준에 따라 지급받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계산을 간단하게 해보도록하죠.
청년도약계좌 계산하기
예를들어서 2400만원 이하를 받는 소득 청년이 월70만원 최대 한도로 납입을 한다고 가정 합니다. 그럼 기여금지급한도의 40만원이라는 금액을 충족하여 기여금 매칭의 6%를 지급받아 볼 수 있으며, 2.4만원의 추가 지원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거기다 각각의 은행에서 제공하는 비과세 및 이자수익은 덤으로 얻어가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2400만원의 소득인 분들의 경우 70만원을 매월 넣어도, 넣어도 혜택을 받아 볼 수 있는 기여금은 40만원이 최대 한도이며, 본인의 총소득 대비 하여 기여금 지급한도에 금액을 맞추어 지급을 받는게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는 6월에 신청을 해볼 수 있으며, 신청기간으로는 오는 12월 말까지 진행을 한다고하는데요. 참고하시고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하게 되면 불이익은?
-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소득이 바뀌게 된다면?
- 청년도약계좌 월 70만원만 고정 납부? 최소 적금 금액은?
- 청년도약계좌 군복무하는 군인 가입가능한가?
- 청년도약계좌 무직자 가입되나?
- 청년도약계좌 대상 및 조건 5년 안에 0.5억? 모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