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택채권이라는 단어가 많이 생소해 하실 듯 합니다. 저 또한 그런데요. 하지만 셀프등기를 진행을 하시는 분들의 경우, 해당 서류를 발급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해당 서류의 경우 국가에서 발행을 해주는 채권용도의 서류이니 해당 부분을 참고하여 발급과정까지 진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글의 목차
- 1 국민주택채권이란?
- 2 국민주택 채권 계산하기
- 3 기업은행 국민채권매입 하기 영수증 발급하기
- 4 연관포스팅
- 5 청년 창업지원금 종류 6가지 조건, 대출금액 알아보기
- 6 아이폰14 사전예약 카드 할인율 비교 사전예약하는 9곳
- 7 올리브영에서 외국인 친구 선물 고르기 좋은 아이템 BEST 16
- 8 "갔다주세요 vs 갖다주세요" 뭐가 맞을까? 헷갈리는 표현 정리!
- 9 전세대출 만기일 상환 못하면? 연체부터 법적 대응까지 총정리
- 10 지게차 자격증 비용 얼마? 3톤 미만·이상 학원비용과 취득 방법 총정리
- 11 코로나 소상공인 2차 재난지원금 조건 종류 지원금 사이트 알아보기
- 12 지인 추천으로 설치한 모니모 어플 장점은? 혜택, 모니모 뜻?
국민주택채권이란?
부동산을 구매하게 될 경우, 이전등기를 진행을 하게 된다면, 의무적으로 구매를 해야되는 채권이 국민주택 채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매를 하는 용도가 토지, 농지, 주거용 부동산 인가 따라 채권매입금액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해당 채권은 공공주택 사업을 실행을 할 때 사용이됩니다.
- 신혼부부 전세임대
- 기존주택 매입임대
서울 제외 기타 광역시의 경우 매매 공시지가가 1억원이라면, 채권 매입금액은 대략 8만원으로 계산하여 확인을 해볼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를 조회를 하실려면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를 이용을 하시면 간단하게, 시세 확인이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 합니다.
국민주택 채권 계산하기
우선은 채권을 납부하기 위해서 납부를 해야 될 채권계산을 진행해야 하는데요. 매입을 할려는 공시지가 시세를 확인을 하시고,
대략적인 국민주택 채권 매입 계산기를 활용하여 매입대상금액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고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주택 채권계산하기
- 주택도시기금 [매입대상금액 조회 홈페이지] 방문
- [채권금액 계산하기] 진행합니다.
매입용도, 대상건물지역, 건물 시가표준액 입력을 하시고 [채권매입 발행 금액조회] 항목을 클릭 합니다. 예로 1억기준으로 설정 하고 채권 매입금액 160만원 금액을 기억 합니다.
기업은행 국민채권매입 하기 영수증 발급하기
국민 채권을 발급을 할 수 있는 은행은 다음과 같이 6가지 은행에서 지원을 하고 잇습니다.
- 국민은행
- 기업은행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 우리은행
해당 국민채권 매입영수증의 경우 은행창구에서 발급을 받아볼 수 잇으며, 아니면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저는 기업은행을 사용을 하다보니 기업은행에 대해 설명을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은행 국민주택채권매입하기
- [ibk 기업은행 홈페이지] 방문
- 공동인증서 로그인 진행
- 우측 상단 [돋보기] 클릭
- [국민주택채권매입] 항목 검색
팝업창 국민주택 채권매입항목 클릭
- 징구기관 – [법원등기소] 선택, [본인신청] 선택 [확인] 클릭
- 국민주택채권매입 정보를 입력 후 [확인] 을 누릅니다.
- 채권 매입완료
- [채권 매입 수납 영수증/조회] 페이지로 이동
ibk 로그인해야만 볼 수 있으며, 조회하여 국민주택채권매입한 영수증을 발급 합니다.
위 6번 용어 정리
- 등기용등록번호 – 주민번호 입력
- 발행금액 – 수납금액 계산 버튼 클릭
주택도시기금에서 계산했던 160만원을 입력, [수납금액] 계산 버튼 클릭
- 고객부담금 조회 확인 후 [확인] 버튼 클릭
- 대행인 – 없을경우 생략 후 [확인] 버튼 클릭 후 채권 매입 진행
위와 같이 국민주택채권매입하는 방법과 영수증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해당 방법을 이용하여 발급받아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