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의 목차
- 1 전세사기 발생
- 2 전입신고 통보서비스 목록
- 3 통보 알리미 신청방법
- 4 관련 글
- 5 연관포스팅
- 6 전세사기 피하는 방법 3가지 총정리 (안심전세 이용)
- 7 한국 부동산 사고물건 확인법,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5가지 방법
- 8 전국 빈집 현황 한눈에! 빈집 찾는 법과 활용 방법 총정리
- 9 전세피해확인서 발급방법 필요서류 및 피해유형은?
- 10 주택 소유 이력 조회 방법 총정리, 청약·세금 대비 필수 가이드
- 11 전세보증보험 재가입 서류 종류 발급 방법
- 12 수도권 주담대 6억 상한제 시행! 대출 가능한 사람은 누구?
- 13 온나라부동산정보 통합포털 실거래가 공시가격 확인하기
전세사기 발생
최근에 전입신고를 하여 모든 걸 마친 세입자가 어느순간 자기가 살고 있는 집을 담보로 근저당이 잡혀잇었다고 합니다. 이는 집주인이 세입자가 전출신고를 멋대로 해버리고 대출을 받아 버린것인데요. 참 황당한 사건도 다 있는 듯 합니다.
그로 인해 경매로 넘어가게 되면 세입자는 무슨 잘못일까요? ;; 그래서 이런 것을 미연에 방지를 해주고자 도입한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전세사기 방지 알리미 서비스 입니다.
전입신고 통보서비스 목록
신청을 하시면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 전입신고
- 세대주변경
- 주민등록증 발급 재발급
- 주민등록표 열람또는 등초본
등을 열람하거나 변경이 되었으시에 세대주에게 알려주는 서비스 입니다. 이런 통보서비스를 이용을 하시면 전세사기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통보 알리미 신청방법
통보알리미를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볼 수 있습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은 아래와 같이 간편인증서비스를 통하여 로그인 가능합니다.
2. 검색창에 [전입신고 알림]이라고 들어갑니다.
3. [(전입신고, 세대주변경, 주민등록증, 주민등록표) 통보서비스 신청] 항목을 [신고] 버튼을 눌러줍니다.
4. 아래와 같이 본인의 개인정보와 세대주 주소를 입력하여 줍니다.
5. 신청서비스를 고르시면 됩니다. 아니면 모두다 신청하여 SMS 서비스로 전입신고 및 부동산 변동내역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다 신청하였습니다.)
6. 모든 항목을 작성을 한뒤 아래의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설정을 하여 줍니다.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신청을 하시면 집주인이 변경이 된다거나, 집주인아 나 몰래 전출을 시킨다거나 하는 내역의 개인정보로부터의 위협을 배재하여 볼 수 있습니다.
변경이 된다는 알림메시지가 온다면 집주인과 바로 대응하여 사기를 막아 볼 수 있겠죠?
세상은 완벽하지가 않아 본인의 돈은 본인이 지켜야합니다. 나라가 나서서 구제할 것 처럼 하지만, 구제하는 척만 할 것 입니다. 그래서 개인은 개인의 돈을 똑똑하게 지켜야합니다.
관련 글
- 전세사기 수법 막는 방법 3가지
- 전세사기 예방방법은? 사기 당하지 않는 방법 7가지 등기부등본도 속여!?
- 고정금리 전세자금 대출 대상과 금리는 얼마인가? 신청방법은?
- 전세피해 임차인 저리대출 신청방법 대상은?
- 전세보증금 전세사기 대응 방법 9가지 (집주인이 빌음)
- 5월부터 변경되는 실업급여 총정리 재취업활동 횟수가 늘어난다!